공무원 조직 내부의 갈등은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본 글에서는 해외 주요국의 공직 내 갈등관리 제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공직 내 갈등관리의 중요성과 과제
공무원 조직 내 갈등은 업무 비효율성 초래, 사기 저하, 이직 의도 증가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 실제로 공공부문 내부갈등 비용이 연간 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행안부, 2019).
공직 내 갈등관리가 시급한 이유는 갈등 유형도 다변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계층간, 세대간 가치관 차이에 따른 갈등도 증가하고 있습니다(Shaubroeck et al., 2022).
갈등예방을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해외 주요국에서는 공직 내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일과 삶의 균형 캠페인’을 통해 근로시간 준수, 유연근무제 활성화 등의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이를 통해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갈등 소지를 줄이고 있습니다(UK Government, 2021).
호주 연방정부도 ‘연방 공무원 행동강령’을 제정하여 상호 존중과 윤리의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직 내 갈등관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Australian Public Service Commission, 2022).
갈등상황 대응 및 해결 프로세스
갈등 상황 발생 시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해결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한 국가도 있습니다.
미국 연방정부는 ‘갈등관리센터(Federal Workplace Conflict Management Center)’를 설치하여 갈등 사례에 대한 상담, 중재, 조정 업무를 전담하고 있습니다. 외부 전문가 풀을 활용해 공정성을 기하고 있습니다(Federal Workplace Conflict Management Systems, 2021).
캐나다 정부도 유사한 ‘갈등해결센터(Informal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Office)’를 운영 중입니다. 갈등 당사자의 비밀을 보장하고 중립적 해결을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Government of Canada, 2020).
조직문화 개선을 통한 갈등 완화
장기적으로는 갈등의 근본원인이 되는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정책도 필요합니다.
뉴질랜드는 ‘Better Workplace’ 프로젝트를 통해 공직 내 갈등문화 혁신에 힘쓰고 있습니다. 상호존중 문화 정착을 위해 리더십 교육, 코칭, 캠페인 활동 등을 벌이고 있습니다(New Zealand Government, 2022).
호주 빅토리아주 정부도 ‘직장 문화 혁신 로드맵’을 수립하여 성희롱, 인종차별 등 갈등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Victorian Government, 2022).
전문적인 공직 내 갈등관리 인력 및 교육체계 구축
전문 갈등관리 인력 양성과 이를 위한 교육체계 마련도 필수적입니다.
미국 FEMA(연방재난관리청)에서는 ‘분쟁해결 전문가 인증과정’을 운영 중입니다. 협상, 중재, 조정 등 분야별 전문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FEMA, 2021).
영국 정부도 ‘갈등관리 마스터과정’을 개설하여 현직 공무원의 갈등관리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전문 교수진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UK Civil Service College, 2023).
민간부문 우수사례와 연계 방안
민간부문의 우수한 갈등관리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정책도 필요합니다.
미국에서는 정부기관과 기업이 협력하여 ‘갈등 솔루션 교육 프로그램(Conflict Solution Progra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갈등관리 노하우를 공유하고 공동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습니다(Society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2019).
네덜란드에서는 정부-대학-기업 간 ‘트리플 헬릭스 파트너십’을 통해 혁신적 갈등관리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신 연구와 현장 애로사항을 상호 공유하며 새로운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Triple Helix Association, 2021).
한국 정부의 공직 갈등관리 정책 과제
첫째, 갈등 예방을 위한 선제적 제도 기반을 구축해야 합니다.
- 유연근무제 확산, 가치관 교육 등을 통해 갈등 소지 사전 해소
- 공무원 행동강령 및 상호존중 가이드라인 등 행동규범 제정
- 조직문화 컨설팅, 리더십 교육 등 예방 프로그램 활성화
둘째, 체계적인 갈등 대응 및 해결 프로세스를 마련해야 합니다.
- 인사혁신처 산하 ‘공직갈등관리센터’ 등 전담기구 신설
- 갈등 상담, 중재, 조정 절차 등 일관된 프로세스 수립
- 내외부 전문가 풀을 활용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치 시행
셋째, 갈등의 근본 원인 해소를 위한 조직문화 혁신이 필요합니다.
- 공직윤리, 소통, 성평등 등 혁신 가치 내재화 교육 실시
- 갈등문화 개선 로드맵 수립 및 주기적 갈등영향평가 시행
- 상호존중 캠페인, 간부직 Leading by Example 등 실천운동 전개
넷째, 전문적인 공직 내 갈등관리 인력 양성체계를 새롭게 구축해야 합니다.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중심 갈등관리 전문과정 신설
- 분야별(노무, 성희롱 등) 전문인력 양성 트랙 운영
- 민간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교육과정 내실화
다섯째, 민간부문의 우수사례를 정부정책에 접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정부-기업-대학 간 트리플헬릭스 협의체 구성
- 기업의 선진 갈등관리 노하우 공유 및 정책연구 지원
- 공동 R&D를 통해 혁신적 갈등해법 발굴
여섯째, 갈등관리 제도의 실효성 강화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 갈등영향평가 및 관리실태 점검 의무화
- 우수사례 발굴 및 인센티브 제공으로 확산 유도
- 갈등관리에 대한 정부 재정투자 및 법적 근거 보완
공직 내 갈등관리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
- 정책 수립 및 운영 과정에 현장 공무원 참여 보장
- 정책 수요자인 현장 공무원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실효성 제고
- 실제 갈등사례를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소통창구 마련
- 부처별 갈등관리 전담조직 및 인력 배치
- 부처 특성에 맞는 갈등관리 매뉴얼 및 대응체계 구축 필요
- 전담인력을 지정하여 지속적이고 일관된 갈등관리 업무 수행
- 성과관리 및 환류체계 구축
- 갈등관리 정책의 성과지표와 목표치를 사전에 설정
-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개선사항 도출
- 우수사례 발굴 및 확산, 미흡사례 보완을 통해 정책 고도화
- 외부 전문가 및 민간 참여 활성화
- 갈등관리 관련 학계, 연구기관, NGO 등 외부 전문가 자문위원회 운영
- 민간분야 우수 갈등관리 기법을 정부정책에 도입하는 창구 마련
- 정부 차원의 예산 및 제도적 기반 마련
- 갈등관리 전담인력 운영,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에 필요한 예산 확보
- 갈등관리 정책의 법적 근거 마련 및 주기적 제도 개선 추진
- 공무원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 공직 내 갈등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공무원 인식 전환
- 지속적인 교육과 캠페인을 통해 갈등관리 문화 정착 유도
이러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공직사회의 갈등 해소 및 예방 역량을 높여나가야 할 것입니다.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갈등관리로 정부 업무역량을 높이는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